재테크

커버드콜 ETF 전략과 주의점

주가지수의 횡보, 또는 완만한 추세 유지가 예상되는 경우 대안으로 많이 찾는 상품 중 하나가 커버드콜 전략입니다. 커버드콜 전략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와 상품별 특징은 작년 따로 정리를 드린 바 있습니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d985d9f539aa002a7778bc

국내 인덱스 커버드콜 ETF

인컴투자는 이자, 배당, 자산매각에 따른 원금 환입 등 다양한 현금원천을 제공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중 콜옵션 매도를 통해 추가적인 배당수익을 얻는 커버드콜 ETF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커버드콜 전략이란? - Tiger200 커버드콜 ATM 콜옵션은 주식을 살수 있는 권리입니다. 옵션을 매수하면 주식을 매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d985d9f539aa002a7778bc
최근 주가 지수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되면서 지수의 상승여력에 의문을 가진 투자자 분들이 늘어남에 따라 커버드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양한 ETF가 신규상장되고 있습니다. 아래 당사가 파악한 국내상장된 ETF들을 보면 최근 3개월 이내 신규상장된 ETF가 8종이나 됩니다. 미국기반 인덱스를 기반으로 한 상품이 7종이며 미국장기채권을 기반으로 한 상품도 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은 옵션매도를 통해 일정수준의 배당이 확보되기 때문에 실제 현금을 인출해 사용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는 유용한 상품입니다. 전략적으로는 주식, 채권 등이 일정밴드내에서 제한적 흐름을 이어가는 경우 꾸준한 배당 수익을 얻으면서 직접 투자 대비 높은 성과와 낮은 변동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과 달리 단점도 있어 전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가정과 사례들이 있고 구조를 정확히 분석하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인 경우로 주의할 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단점은 옵션매도를 통해 주가상승의 기회를 상실한다는 것입니다. 꾸준히 우상향하거나 급등하는 환경에서 커버드콜 전략은 배당수익외 시장 상승에 따른 수익을 얻지 못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중 하나가 OTM 옵션을 활용하여 일정수준까지는 주식상승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단, 이방법도 옵션 행사가격 이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주가 상승이 제한됩니다. 또 다른 주의사항은 커버드콜전략은 하락을 방어하는 전략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배당수익으로 일부 손실을 만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구조적으로 주가 하락을 방어하는 수단은 없습니다.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콜옵션 매도를 통해 얻는 배당을 받으며 주가 회복을 기다리는 전략을 생각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이는 콜옵션의 만기 롤오버 때문에 옵션의 행사가격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보통 월간으로 옵션만기가 되는데 이때 옵션의 행사가격이 변해 기초지수와 괴리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100이던 주식이 옵션만기때 90으로 하락하고 다음 옵션만기 전 100으로 회복한다면 기초지수는 원래 가격으로 회복하지만 커버드콜 상품은 옵션만기시점, 90에 콜옵션이 매도가 되어 100으로 상승하는 구간에는 주가가 상승하지 못합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옵션매도 주기를 주간 또는 월간 이상의 장기로 하는 전략도 있으나 OTM전략과 마찬가지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해하고 커버드콜을 투자해야 하며 옵션매도 가격의 조정, 옵션 만기조정외에도 다양한 전략이 있습니다.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이나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등과 같은 인덱스외 별도의 주식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이 대표적입니다. 위 ETF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십시오.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efe6e8e2e39b00293d1ba2

국내상장 미국커버드콜 ETF

커버드콜은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옵션을 매도하며 수익이 발생하고 대신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옵션에서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때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 옵션에서 발생하는 손실만큼 주식에서는 수익이 발생, 이를 상쇄합니다. 커버드콜 전략 관련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십시오. https://www.therich.io/...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64efe6e8e2e39b00293d1ba2
그외 전략으로는 최근 신규상장되는 ETF에서 많이 보이는 프리미엄을 확정한 전략입니다. 콜옵션 가격은 시장상황에 따라 가격이 변합니다. 그래서 커버드콜의 옵션매도 수익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옵션프리미엄을 사전에 지정하는 상품의 경우 해당 수익률이 확보되는 수준까지 옵션을 매도합니다. 이런경우 시장변동성이 커져 옵션수익이 증가하면 옵션매도 수량이 감소해 편입자산(기초자산)의 시장에 대한 순 노출도가 높아집니다. 대신 일반적인 커버드콜 전략은 기초자산 전체에 해당하는 옵션을 매도하기 때문에 시장에 대한 순 노출도는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대신 변동성이 커지면 옵션가격이 상승해 배당금이 늘어날 수 있고 반대인 경우 배당금이 줄어듭니다. 결국 두전략의 차이는 배당을 고정하고 시장 노출도를 두느냐, 시장 노출도를 낮게 유지하고 배당을 변화 시키느냐의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 ETF에 대한 자세한 전략은 상품명에 명시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국내 주식커버드콜 상품인 Tiger 배당프리미엄액티브의 벤치마크는 5% OTM지수를 활용하며 삼성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 ETF는 주간단위로 옵션을 매도합니다. 그래서 투자하기전 세부적인 전략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 저희와 자문계약 하신 분들은 직접 찾지 않고 저희에게 확인을 요청하셔도 됩니다.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합성 H)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합성) $ACE 미국반도체15%프리미엄분배(합성) $KODEX 미국배당+10%프리미엄다우존스 $TIGER 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ACE 미국빅테크7+ 15%프리미엄분배(합성)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 $KBSTA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TIGER 200커버드콜5%OTM $TIGER 200커버드콜ATM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 $TIGER 배당프리미엄액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