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해외주식
배당ETF의 진짜 수익률, TR을 확인하려면..
1. 배당과 분배 ETF는 펀드라 펀드를 운용하면서 투자한 주식이나 채권에서 발생하는 배당수익을 펀드 분배수익으로 내보냄 일상적으로 배당수익으로 표현해서 혼용하지만 정확한 표현은 분배금, 분배수익률입니다. 영어로는 동일하게 dividend 입니다. 다들 아시다 시피, ETF의 특성에 따라 분배수익은 천차만별 ETF 투자에서 분배수익의 적립은 장기적으로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침 그렇다면 우리가 보는 ETF의 가격만을 그려서 분석한다면 사실 ETF의 진정한 분배수익을 확인해볼수가 없음.. 막연하게 특정 ETF의 분배수익이 1%다 2.8% 다라고 현시점에서 분배수익률만 확인하는 정도가 일상적임 2. 우리가 보는 것은 죄다 PR 인데… TR 을 알고 싶다? 분배수익과 무관하게 그냥 ETF의 가격만 이어서 그려놓은 것을 PR.. 즉 Price Return 이라고 함 분배수익을 계속 해당 ETF에서 재투자했다고 가정한 분배수익을 포함한 성과를 TR… 즉 Total Return 이라고 함 분배수익이라는 것이, 한국의 경우 배당소득세 15.4%를 떼야 하기 때문에 배당소득세를 차감하고 실제적으로 투자자에게 얻게되는 성과를 NTR… 즉 Net Total Return이라고 합니다. 3. 어디서 비교하고 확인하지 ? 이 3가지 개념은 배당투자에서 굉장히 중요한데, 한국ETF 의 경우, 배당투자가 일상적이지 않은것인지 다들 관심이 없는 것인지 TR, PR, NTR을 비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TR, PR을 장 단기 적으로 그려보는 것은 수익률을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합니다. 고액의 유료로 구독해서 보는 Bloomberg단말기에서는 쉽게 비교할수 있지만 일반인들이 확인해보시기는 어려운거 같아 간략히 소개시켜드리고 비교화면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 Seekingalpha 미국 ETF 의 경우, 시킹알파를 통해서 특정ETF를 선택하고 Charting을 선택하시고, metric에 total return으로 셋팅하면 여려 ETF를 total return개념에서 비교해보실수 있습니다.위에 그래프가 SCHD 와 SPY의 3년 total return 비교이고, 아래가 price return 비교입니다. Price return으로 보면 SPY가 우세이지만 total return으로 보면 SCHD가 더 우위에 있죠? 해당 ETF가 더 높은 분배금을 적립해서 주기 때문에 SPY의 분배금보다 더 많이 주는 SCHD가 우세한 수익률이 나오는 것이죠. 아래 링크를 누르고 연습해보시면 금방 익숙해지실겁니다. https://seekingalpha.com/symbol/SCHD/charting?axis=percentage&compare=SCHD%2CSPY&interval=3Y&metric=totalReturn&series=line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Charting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chart price and fundamental data. Compare data across different stocks & funds.
https://seekingalpha.com/symbol/SCHD/charting?axis=percentage&compare=SCHD%2CSPY&interval=3Y&metric=totalReturn&series=line역시 시킹알파의 배당화면에서 보면, SCHD의 과거12개월 분배율이 3.75%로 SPY의 1.54%보다 우월한건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킹알파의 경우에 하나의 ETF를 TR, PR 이렇게 확인해 보기는 어렵습니다. 2) Etfreplay.com etfreplay라는 싸이트에서 시킹알파에서는 못보여주었던 특정ETF의 TR, PR 을 비교해서 보실수 있습니다.SCHD 3년 성과가 녹색의 TR이 파란색의 PR보다 지난 약 14% 우월한것을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보세요. 기간을 다양하게 놓고 비교 확인해보실수 있습니다. https://www.etfreplay.com/chart_totalreturn.aspx?s=SCHD&st=2020-05-27&ed=2023-05-26etfreplay는 무료로 다양한 차트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관심있는 ETF들의 total return과 변동성을 쉽게 확인해보실수 있습니다.https://www.etfreplay.com/chart_totalreturn.aspx?s=SCHD&st=2020-05-27&ed=2023-05-26
https://www.etfreplay.com/chart_totalreturn.aspx?s=SCHD&st=2020-05-27&ed=2023-05-26https://www.etfreplay.com/charts.aspx?s=VWO,QQQ,SCHD,TLT&st=2020-05-27&ed=2023-05-26결론 주식을 배당관점에서 장기투자하는 투자자, 채권 ETF를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있어서 PR보다 더 중요한 것이 TR 입니다. 그럼에도 한국상장 ETF 들은 TR을 쉽게 비교 확인할 만한 도구가 아직 찾기가 어렵습니다. 한국거래소에서 TR, NTR 지수를 발표하고 몇몇 국내 운용사에서 TR추종 ETF를 출시한 정도 입니다. TR추종 ETF 라 분배금이 없는 것일뿐 성과에서 투자자들이 차이를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103770&memberNo=32787516https://www.etfreplay.com/charts.aspx?s=VWO,QQQ,SCHD,TLT&st=2020-05-27&ed=2023-05-26
https://www.etfreplay.com/charts.aspx?s=VWO,QQQ,SCHD,TLT&st=2020-05-27&ed=2023-05-26분배금이 장기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고배당형 ETF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비교검색을 통해서 분배금을 많이 받는 방향의 포트폴리오 구축도 가능하실수 있으실 겁니다. 또한 단순 분배수익률이 높다고 좋다고만 볼수는 없습니다. 자산증대를 하는 젊은 세대시라면 지나치게 높은 분배금보다는 장기성과가 좋을 ETF를 통해 증식을 하고 나이가 들어 은퇴즈음에 분배수익률이 높은것으로 갈아타는 것도 방법일 것입니다.TR과 PR, 그리고 NTR
[BY 한국거래소 ETF ETN] #KRX #ETF #경제 #금융 #주식 #펀드 #재테크 #자산관리 #TR #PR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103770&memberNo=32787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