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해외주식
[미국 ETF] IBB - 미국 나스닥 바이오 ETF(헬스케어, 유전자)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오공 선생입니다. 오늘은 섹터 하나를 공부해 보려 합니다. 크게 보면 헬스케어, 더 깊이 들어가면 바이오인데요. 헬스케어 전체를 가져가는 ETF들도 많지만 오늘 리뷰하는 ETF는 나스닥 바이오 기업에 초점을 맞춥니다. 더 깊이 들어가면 이 바이오도 또한 나눌 수 있지만 우린 그 정도까지 공부할 시간과 노력을 들일 필요가 없죠. ETF 구성을 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될 거라 생각됩니다. 오늘 제가 가져온 ETF는 미국 나스닥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IBB'입니다. 1. IBB 개요 운용사: 블랙록 현재 가격: 약 171,425원 (23. 4. 12. 기준) 52주 최고가 대비 -5.76% (23. 4. 12. 기준) 시가총액: 10.7 조원 수수료: 0.44% 배당률(연): 0.27% 출시일: 2001년 2월 1일 나스닥 바이오 기업에 투자 * ETF 간단 평가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부족 1. 매우 좋음 1) 1~5위 운용사 2) 시총 10조 이상 3) 수수료 0.1 이하 4) 거래량 100만 이상 2. 좋음 1) 5~20위 운용사 2) 시총 1조 이상 3) 수수료 0.1~0.5 4) 거래량 10~100만 3. 보통 1) 20~50위 운용사 2) 시총 1000억~1조 3) 수수료 0.5~0.7 4) 거래량 5~10만 4. 부족 1) 50위 밖 운용사 2) 시총 1000억 이하 3) 수수료 0.7 이상 4) 거래량 5만 이하 1) 운용사: 매우 좋음 2) 시총: 매우 좋음 3) 수수료: 좋음 4) 거래량: 매우 좋음 ▶ 헬스케어 섹터 전체 중에서도 탑 급 ETF입니다. 헬스케어 내에서 대형 바이오에 집중하신다면 고민 없이 선택하셔도 될 녀석입니다. 2. 어떻게 종목을 구성하나요?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 중 생명공학 및 의약품 기업에 투자 분기별 포트폴리오 조정, 총 리밸런싱은 연 1회 시가총액 기준 상위 5개 기업의 개별 편입비중이 8%를 넘을 수 없음 나머지 종목의 개별 편입비중은 4%을 넘을 수 없음 ▶ 나스닥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요 전체적인 기업들의 편입비중에 제한을 두어 분산투자가 되도록 세팅했습니다. 하지만 시가총액 탑 기업들에 비중이 꽤 실어질 것으로 보이네요. 3. TOP 10 및 투자 비중출처: 이자 ETF 국가 비중 1위 미국 2위 프랑스 분야별 비중 헬스케어 ▶ 크게 특별한 것은 없고요.출처: 이자 ETF 1위 길리어드 사이언스 2위 암젠 3위 버텍스 파마슈티컬스 4위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5위 바이오 총 보유 종목 수: 367개 상위 10개 종목 비중: 54.88% 주요 기업 간단 요약 1) 길리어드 사이언스 미국의 바이오 테크기업으로 HIV, B/C형 간염, 인플루엔자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대표 약으로는 타미플루, C형 간염 치료제 해보니 등이 있음 2) 암젠 세계 최대의 생명공학 제약 기업 중 하나로, DNA 재조합 및 분자 생물학에 기반하여 중증 질환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하는 기업. 대표 제품으로 중구 감소증 치료제 뉴라스타, 관절염 실제 엔브렐 등이 있음 3) 버텍스 파마슈티컬스 미국의 바이오제약 회사로 주로 낭포성 섬유증 치료 약을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는 시판 중인 낭포성 섬유증 분야에 집중되어 있지만 다른 중증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노력을 하고 있음 ▶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절반으로 실제로 탑 텐 비중이 큰 편이긴 합니다. 그러나 상당히 많은 수의 기업이 들어가 있고 분기별로 비중 조절을 하기에 변화에 민감한 바이오 섹터를 가져가기엔 적당해 보이는 세팅입니다. 4. 수익률 데이터 (배당금 반영)출처: 이자 ETF 출시 후 누적 수익률 290% 연평균 수익률 6.33% ▶ 변동성은 상당해 보이나 길게 보니 우상향이긴 합니다. 바이오 투자를 할 때는 역시 길게 나눠서 오래 봐야 하네요.출처: 이자 ETF 최근 연 배당률: 0.31% ▶ 바이오 기업이기에 배당할 여력은 당연히 없겠죠. 출처: 이자 ETF MDD 1차 최대 손실: -62% 2차 최대 손실: -39% 하루 최대 손실: -9% 최대 손실을 보면 생각이 많아집니다. 아무리 우상 향하는 믿음을 가진 주식이라도 큰 손실이 나는 일은 언제든 있을 수 있으며 그 또한 견뎌야 달콤함을 주는 무서운 곳이라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겠습니다. 5. IBB 총평 장점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산 운용사 바이오에 있어서 가장 큰 규모 단점 상위 기업들에 과도한 비중 헬스케어 전체보다 나은가라는 호불호 "바이오 섹터는 장기투자하기 괜찮아 보임" "헬스케어 전체를 가져가는 것과 비교해서 고민" 저는 섹터 투자를 한다면 헬스케어 쪽은 장기투자할 만한 근거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생각은 시대를 막론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그 안에서 이제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는 깊이 공부해 보긴 해야 하는데, 단순하게 생각하면 헬스케어 전체를 가져갈지, 아니면 세분화해서 가져갈지가 되겠죠. 헬스케어 전체를 가져갔을 때는 사실 배당 ETF나 인덱스 펀드와 겹치는 부분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일반 인덱스 펀드 투자 중이신데 헬스케어 투자를 하고 싶으시면 가장 규모가 큰 IBB를 선택하는 것도 그 생각에 동의가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변동성은 당연히 있기에 욕심을 내어 급하게 투자하기보다는 호흡을 길게 가져가시는 게 좋다고 생각하고요. 무엇을 하든 개별 기업보다는 변동성이 적으니 산업 전체를 가져가는 투자가 좋아 보입니다. ETF도 결국 주식이므로 크나큰 변동성은 유의하셔야겠습니다. * 이런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헬스케어, 특히 바이오 투자를 원하시는 분 개별 주식 투자가 부담스러우신 분 더 많은 글은 https://blog.naver.com/lkll1026/223064166034[미국 ETF] DLN - 매월 배당 ETF(대형주, 라지캡, 고배당, 배당 성장)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오공 선생입니다. 매월 배당을 선호하시는 투자자분들 혹시 계실까요? ...
https://blog.naver.com/lkll1026/22306416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