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해외주식
미국 OTC 주식 세계적인 식품 기업 네슬레 알아보기 프로파일 박민티 ・ 10시간 전
요즘 집이나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캡슐커피!! 그중 돌체 구스토를 많이들 사용하실 겁니다. 거기에 흰 우유가 먹기 싫어서 네스퀵하나 타서 맛있는 초코우유로 만들어서 먹은 적도 있었죠. 그 제품들의 공통점은 바로 네슬레! 식품기업의 최고봉 네슬레를 소개해 드립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식품 기업 네슬레는 스위스 시장에 상장돼있는 시가 총액 1위인 식품&음료 대기업입니다. 스위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식품기업 시가 총액 1위를 하고 있으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코카콜라나 펩시코보다도 시가총액이 상당히 차이 나는 대기업입니다. 식품기업 시가총액 현황 네슬레 코카콜라 펩시코 약 $3,248억 달러 약 $2,711억 달러 약 2,533억 달러 회사는 1866년 1867년 각각 설립된 회사가 1905년에 합병으로 네슬레 앵글로 - 스위스 연유 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77년에 네슬레로 이름이 변경했습니다. 시작은 우유 기반의 이유식을 개발했으며 밀크 초콜릿 제조 공정에 대한 작업을 하면서 사업을 확장 시켰습니다. 1879년에는 밀크 초콜릿 발명가인 다니엘 피터와 합병을 했습니다. 네슬레 푸드의 1915년 분유 광고 19세기 말~20세기 초에는 스위스의 초콜릿 산업 발전에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공장을 설립했으며 밀크 초콜릿의 대량생산 공장 또한 성공시켰습니다. 1,2차 세계대전 때 크게 성장하면서 초기 연유나 유아용 분유 등으로 제품을 확장 시켰습니다. 정부 계약의 형태로 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창출되었고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생산량이 두 배 이상 증가했죠 2차 세계대전 종료 후에는 조미료&수프 업체를 시작으로 제과회사나 커피 등 다양한 회사를 인수하기 시작했습니다. 영국 제과회사의 1988년의 인수로 이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킷캣 브랜드가 출시가 됩니다. 1988년 당시 킷캣 모습 이후 1990년대 세계 시장의 무역 지역으로 변화할 때 또한 미국 아이스크림 기업이나 많은 기업을 인수했는데 그중 Cadbury와 공동입찰로 허쉬를 인수할 뻔했지만 거래가 무산된 적이 있습니다. 이후 2010년에는 크래프트 푸드의 북미 냉동피자 사업을 인수하면서 다양한 식품 사업을 뛰어들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에는 커피전문점 블루 보틀을 인수했으며 2019년에는 스타벅스로부터 유통권을 계약하면서 원두나, 캡슐커피, 티바나등 다양한 브랜드를 스타벅스에 로열티를 주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네슬레 스타벅스 판매 제품 특이한 점으로는 화장품 뷰티 기업인 로레알의 지분을 20.1%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브랜드로는 세계적으로 팔리는 퓨어라이프 생수나 탄산수인 페리에가 있으며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킷캣부터 아이스크림에는 하겐다즈 또한 네슬레의 보유 브랜드입니다. 특히 다양한 분유 제품을 제공하면서 전 세계 분유 점유율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생수 퓨어라이프의 이야기 네슬레의 북미의 생수 사업에 철수 이유는 무리한 수자원 채취로 환경 단체의 항의로 여론 악화와 함께 저가 생수 브랜드가 급부상하자 점유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북미의 생수 브랜드 모두를 $43억 달러에 매각했습니다. 특히나 커피&티 분야는 네스카페를 시작으로 네스프레소, 돌체구스토 Special T 등 전 세계에서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입니다.출처 : 네슬레 세계에서 기업의 악명 네슬레는 세계적인 대기업이지만 이익만 된다면 뭐든지 하는 악랄한 사업 태도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특히 1970년에는 수유 부들이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지 않고 분유를 먹이게 유도하는 방법을 쓴 적이 있는데 의사에게 분유가 모유보다 좋다고 로비를 하면서 유도를 했습니다. 가장 크게 비난을 받은 것이 아프리카나 동남아 같은 식수조차 모자란 곳에 분유를 지식 중 하나인 것처럼 홍보했으며 그 결과 많은 아이들이 깨끗하지 않은 물로 인하여 병으로 사망했습니다. 이때 당시 분유가 영양분이 하나도 없는 이름만 영아용으로 바꾼 분유를 판매하면서 이것을 먹은 아이들이 영양실조에 걸리거나 병에 걸리는 일이 생기자 많은 나라에서 청문회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1974년부터 네슬레는 1984년 거의 10년가량 불매운동의 후폭풍을 받게 되었으며 그나마 1981년에 문제점을 인정하고 개선을 하면서 불매운동이 종료되었습니다. 네슬레가 가져온 나비효과 네슬레의 분유 사건으로 현재 유아용 분유들의 규제가 생긴 계기가 되었습니다. 영양 성분 보충 조치를 받고 생산되거나 영아용 분유 광고의 엄격한 규제 등이 생겨났죠 2008년 9월 홍콩 정부는 중국산 네슬레 분유 제품에서 멜라민을 발견되었고 한국에서 또한 킷캣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었지만 자체 조사에서 문제가 없다고 일단 잡아떼기 식은 여전했습니다. 그 외에도 2015년에 인도에서 네슬레제 라면의 납 성품이 포함된 게 밝혀졌으나 자체 조사 결과 성분에 문제가 없다는 방식은 동일했습니다. 악마의 기업이지만 좋은 매출을 기록 많은 논란과 함께 악마의 기업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지만 매출 부분에서 강력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분기 제품 판매 가격이 작년 동기 대비 9.5% 인상하면서 좋은 실적을 보여줬는데 그 요인으로는 제품의 가격 인상 단행이 적중하면서 2022년 organic growth (외부 요소를 제외한 성장) 8.5%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펫케어 부분의 성장이 가장 큰 기여를 하면서 높은 성장률을 보여줬으며 커피 판매 부분 또한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며 한 자릿수 성장을 했습니다. 2022년 3분기 제품별 매출 / 출처 : 네슬레 추가로 회사는 2022년~2024년까지 약 200억 스위스 프랑 상당의 주식을 재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이중 이미 약 97억 프랑 상당을 매입을 했으며 스위스 프랑 기준으로 매년 배당금을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네슬레의 배당수익률은 2.49%입니다. 세계적으로 엄청난 식품 대기업인 네슬레는 우리 실생활에도 다양하게 포진해 있습니다. 네슬레 제품을 한 번도 안 먹어본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인수와 함께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세계적인 기업이더라도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선례가 아닌 나쁜 선례를 계속해서 보여주는 선두주자가 되는 기업으로 계속해서 남을까 봐 걱정이 많이 되네요 앞으로는 세계적인 기업 다운 좋은 모습과 좋은 선례를 계속해서 남 기는 그런 기업으로 남게 되길 바라면서 네슬레에 직접 투자하실 분들은 스위스나 독일, 영국 시장을 이용하시고 미국에서는 비상장 장외 거래시장에서 매수를 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mintlight/222942693056세상의 모든 미국 주식 연구소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intlight/222942693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