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해외주식
미국 원자재 ETF 세금 변경점부터 대체안까지 알아보기
투자를 하기 위해서 기업 주식 직접 투자 말고도 ETF를 활용하는 방법이 많습니다. 특히 원자재 같은 경우에는 매크로적인 부분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그 부분에 중점을 둔 투자자들에게 최고의 투자 감입니다. 하지만 주로 원자재를 직접 투자하는 선물 투자를 하기엔 위험 부담도 크고 자본금도 많이 들기 때문에 원자재 ETF로 선택하곤 합니다. 특히나 코로나 이후 유가나 천연가스에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인기가 많은 와중에 최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원자재 ETF 매도 대금 세금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자원. 인프라스트럭처 관련 ETF 세금 부과 미국 정부에서 내년 1월 1일부터 외국인 투자자가 일명 공개 거래 파트너십( Publicly Traded Partnership ) 종목에 대한 매도에 10%의 세금을 부과한다는 사실이 최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사실 이는 2021년 11월에 결정되고 2022년 1월에 대상 ETF 명단까지 나왔으나 곧 12월이 되면서 갑작스럽게 뜨겁게 급부상한 것입니다. 물론 세금 부분에 변경이 될 수 있다고 했지만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여기서 가장 큰 골자는 바로 대상 ETF의 매도 금액의 10% 세금을 원천 징수하는 겁니다. 원래 미국 ETF는 매도 차익 금액 250만 원까지는 세금 공제를 해주고 250만 원이 넘는 금액에 한해서 22%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번 PTP 대상 ETF는 내년부터 매도 금액으로 세금이 붙기 때문에 기존의 세금 공제 계산이 통하지 않습니다. 2023년 1월 1일 미 증시 상장 ETF 과세 중요 변경점 미국 비거주자가 대상 ETF를 매도 시 매도 금액 10%를 원천징수한다. (매도 차익이 아닌 매도 금액이므로 손해를 보더라도 세금 징수) 수익률이 10% 이하인 투자자는 일정한 조건을 붙으며 이 세금을 면제받음 ( 국내 투자자는 해당 없음 ) 대상 주요 상품에는 인기 ETF가 다양하게 포진되어 있습니다. 천연가스 가격을 2배 추종하는 ETF부터 최근 증시가 혼란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공포지수인 VIX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다양한 부동산 ETF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이한 건 칼 아이칸의 아이칸 엔터프라이즈 ( IEP )가 포함되어 있는데 에너지나 금속 광업 사업의 이유 때문에 포함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MK 증권 이미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이 결정된 이상 현재로는 12월 27일까지 매도를 하는 방법 외에는 세금을 피할 방법이 없습니다. 실제로 증권사에서도 해당 종목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연말까지 매도 주문을 내지 않으면 세금 부과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공지하고 있습니다. < PTP 세금 부과 대상 상품 리스트 > 첨부파일stock-ptp-list.pdf파일 다운로드 <출처 : CITI> 대안 방법 그동안 PTP 대상 ETF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기존 ETF를 이용하기에는 세금 문제가 크기 때문에 대안 방법을 찾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미국 에너지 기업 ETF입니다. 이번 ETF는 원자재 직접 투자 ETF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관련 기업은 여전히 기존 방식으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ETF 2곳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미국 에너지 기업 ETF (티커) 뱅가드 에너지 ETF ( VDE ) - 운용 수수료 0.10% 에너지 셀렉 섹터 SPDR ( XLE ) - 운용 수수료 0.11%VDE ETF 보유 종목XLE ETF 보유 종목 두 번째로는 국내 시장의 원자재 선물을 통해 움직이는 ETN이나 ETF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ETF, ETN 둘 다 증권거래세는 면제받지만 세금이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합니다. 국내 주식형이 아니기 때문에 기타 ETF에서 보유기관 과세를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매매차익이 아닌 과표증 분에서 차감해서 세금이 나오기 때문에 각 사용 증권사에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거기에 국내 원자재 ETF는 금융 소득 종합과세에 반영되지만 해외 투자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는? 이자와 배당 등 금융 소득이 연 2천만 원 이상이면 초과분을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출처 : Kodex ETN의 세금은 간단합니다. 국내 주식형 이외의 ETN은 거래소를 통한 매도, 환매 모두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그 외에도 유럽이나 일본 시장의 원자재 ETF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환전이나 거래 수수료에 상당한 부담이 있기 때문에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민티 추천 픽은 미국 에너지 기업 ETF 개인적으로 국내 ETF나 ETN은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세금 구조도 바뀌며 금융소득종합과세 금액에 포함되는 부분이 가장 치명타라고 볼 수 있죠. 변동성이 높은 원자재 직접 투자를 하시는 것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기업 ETF를 추천해 드리며 혹시나 원자재 직접 투자를 원하신다면 유럽시장 ETF도 좋습니다. 이번에 변화에 맞춰 자신의 투자 방법에 맞춰서 꼼꼼하게 체크하고 투자 분배를 해야 하겠습니다. 거의 확정적이지만 혹시나 세금에 대해 변경점이 이루어질 경우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mintlight/222936592037